내 워드프레스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등록하기 + 사이트맵 제출, RSS 제출 (2025년 최신, 워드프레스 완전 초보용 가이드)

내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구글 서치 콘솔 등록까지 완료했다면, 이제 네이버에도 대응도 시작할 차례겠죠?☺️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과 RSS를 제출하는 실전 가이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혹시 구글 서치 콘솔에 아직 사이트를 등록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등록 및 사이트맵까지 등록하는 방법 가이드 입니다.

● ● ●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또는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네이버가 사이트를 수집하고 검색 결과에 노출되도록 돕는 관리자 도구입니다.

워드프레스처럼 설치형 블로그는 자동 수집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등록하고 설정해주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 ●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등록 방법

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접속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메인 화면입니다.

2️⃣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 후, 우측 상단의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합니다.

혹시 기존에 다른 블로그 등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등록되어 있더라도 추가로 또 사이트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연동되있던 블로그 계정이 있다면, 오히려 기존 아이디를 사용하시는게 관리하기 편하실거에요.

사이트 등록 버튼을 클릭하는 화면입니다.

3️⃣ 위의 접속 화면에서, “이곳에 URL을 입력해주세요” 란에 자신의 워드프레스 홈 사이트 주소를 등록합니다.
사이트를 입력할 때는 반드시 https:// 를 포함해서 전체 주소로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 예 : https://gajihouse.mycafe24.com/

4️⃣ 그럼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뜨는데요, 화면에 나오는 소유권 확인 방법 중 “HTML 태그” 를 선택합니다.
호스팅 환경과 무관하게 편집할 수 있어 등록하기 편합니다.

HTML 태그 항목에 나오는 메타 태그 (<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자신의 주소” />) 를 복사해놓으시고 이 화면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워드프레스 관리자 메뉴로 갑니다.

HTML 태그를 이용한 소유 확인 방법 선택합니다.

5️⃣ 워드프레스 관리자 메뉴의 [모양] – [테마파일편집기] 를 클릭하세요.
오른쪽에 뜨는 “테마 파일” 목록 중 hearder.php를 클릭합니다. 이 부분을 편집할 건데요. 이 파일은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로드되는 ‘헤더 영역’을 정의하는 핵심 파일입니다.

즉, <head> 태그 안의 메타 정보, 외부 스크립트, 스타일시트 등 검색엔진과 브라우저가 참고하는 주요 정보들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어요.

복사한 메타 태그를 워드프레스 header.php 파일에 붙여넣기위한 워드프레스 관리화면입니다.

⚠️ 잠깐! 수정 전에 꼭 백업을 해두세요

header.php는 테마의 핵심 구성 파일 중 하나이기 때문에,
잘못 수정하면 사이트 레이아웃이 깨지거나, 화면이 흰 화면(화이트스크린)으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수정을 시작하기 전에 아래 중 하나라도 해두시면 안전합니다:

  • 현재 테마 전체 백업
  • header.php 코드 복사 → 메모장에 붙여두기
  • 수정 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스냅샷 저장

특히 코딩 초보자라면 한 줄만 잘못 입력해도 사이트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복사-붙여넣기 전에 원본 백업을 먼저 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6️⃣ 이제 복사한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의 메타 태그워드프레스 테마의 header.php 파일 삽입할 차례입니다.
이 파일은 <head> 태그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head>
<?php astra_head_top(); ?>
<meta charset="<?php bloginfo( 'charset' );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 여기에 메타태그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
<?php wp_head(); ?>
</head>
워드프레스 head 태그 내부에 메타 태그가 삽입된 모습입니다.

🟢 삽입 위치는 wp_head() 위쪽, <head> 태그 안쪽이면 OK

저 같은 경우는 이렇게 코드가 삽입되었어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head>
<?php astra_head_top(); ?>
<meta charset="<?php bloginfo( 'charset' );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 구글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
<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소유권 코드" />
<!-- 네이버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
<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소유권 코드" />
<?php
if ( apply_filters( 'astra_header_profile_gmpg_link', true ) ) {
	?>
	<link rel="profile" href="https://gmpg.org/xfn/11"> 
	<?php
}
?>
<?php wp_head(); ?>
...

구글 서치 콘솔의 메타 태그가 이미 삽입되신 분들은 구글 태그 바로 아래에 네이버 태그를 이어서 넣으면 됩니다.
다 입력했으면 하단의 “파일 업데이트” 를 클릭하여 업데이트합니다.

6️⃣다시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소유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네이버에서 소유권 확인을 위한 확인 버튼 클릭합니다

7️⃣ 자동방지 문자를 입력하면 사이트 소유가 확인되었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아래와 같이 뜨면 성공입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 등록 및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이트 소유권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화면입니다

● ●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맵 / RSS 제출 방법

사이트 등록 및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다면, 이젠 이어서 사이트맵과 RSS를 네이버에 제출할 차례입니다.
사이트맵은 블로그 내 전체 페이지 구조를 네이버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RSS는 새 글이 등록되었을 때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둘 다 등록해두면 검색 노출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 ●

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마스터 도구) 좌측 메뉴에서 ‘사이트맵 제출’ 메뉴로 이동합니다.

사이트맵 제출을 하기위해 사이트맵 제출 메뉴로 이동한 화면입니다.

내 사이트맵 주소를 확인하고 싶으면 사이트맵 주소 확인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어요.

robots.txt 파일에서 사이트맵 주소를 확인하는 화면 (사이트맵 자동 제출 확인 용도)

그렇게 확인 된 사이트맵 주소를 URL 입력란에 넣고 “확인”을 누릅니다.

2️⃣ 잠깐 시간이 지난 후 아래와 같이 사이트맵이 제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맵 주소를 입력하고 제출했을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3️⃣ 이제는 RSS 피드를 등록할 차례입니다. 좌측 메뉴에서 ‘RSS 제출’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워드프레스 기본 RSS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내 워드프레스 주소/feed
RSS 제출을 위해 메뉴로 이동하는 화면입니다.

RSS URL을 입력 한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4️⃣아래와 같이 RSS가 제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RSS 피드 주소를 입력하고 제출을 완료한 화면입니다.

● ● ●

✅ 마무리하며

여기까지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등록하고, 사이트맵과 RSS까지 제출하는 전체 과정을 마쳤습니다. 이 작업들은 내 워드프레스 홈페이지가 네이버 검색에 노출되기 위한 필수 기반 작업이에요.

이후에는 ‘웹페이지 수집 요청’ 기능을 활용해 빠른 인덱싱을 유도하는 방법과, Microsoft Bing에서 운영하는 ‘Bing 웹마스터 도구(Bing Search Console)’ 등록 및 설정 방법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네이버와 구글 외에도 Bing 검색 유입은 예상보다 꾸준한 트래픽을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에,
설치형 블로그를 운영하신다면 꼭 함께 설정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 글도 기대해주세요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